지명

일곡동

● 동명의 유래 

日谷洞은 호구총수에 ‘一谷村’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후 光州郡 石堤面 日谷이라 하였고 1914년 日洞을 병합하여 일곡리라 하였다. 위의 설명을 보면 一谷과 日谷의 두 가지 표기가 혼동됨을 볼 수 있다. 一谷의 경우 ‘一’의 훈은 ‘하나’이지만 이 훈인 ‘하나’는 명사와 결합할 경우 ‘한’이 된다. 그런데 ‘한’이라는 음은 ‘크다’라는 뜻을 갖는 ‘한’과 동음이의어이다. 그러므로 ‘一谷’은 ‘하나의 골짜기’라는 의미와 ‘큰 골짜기’라는 두가지의 의미를 갖게 되는데 ‘큰골짜기’라는 지명일 경우 ‘한실’이라 불리게 된다.
그러나 一谷보다 日谷이라는 표기가 원형이라면 ‘日’의 훈이 ‘날’이기 때문에 물줄기가 갈라지다라는 뜻과 동일한 나누어진다는 뜻을 가진 지명이 된다. 예를 들어 대지에 비가 내리게 되면 산마루에 내린 빗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물줄기를 이루는데 이렇게 여러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는 결국 다른 물줄기와 만나게 되는데 이렇게 합수되는 곳은 물줄기가 갈라지는 곳으로 인식하기도 하여 ‘갈’계 지명이 형성하게 된다. 이런 ‘갈’계 지명이 붙는 곳은 다시 ‘나누어진다’라는 의미에서 ‘날’계 지명으로도 불리는데 이 중 ‘날’계 지명 중의 하나가 ‘日谷’인 것이다.

日谷洞은 一谷이 아니고 日谷이 본래의 표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一谷’이 아닌 ‘日谷’과 관련된 지명이 주위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익산재(翼山-)가 그것이다. ‘익산재(翼山-)’는 ‘일곡에서 용두동으로 가는 고개’라 한다. ‘翼’은 훈이 ‘날개’이다. 그러므로 ‘날’은 ‘日’의 훈 ‘날’과 동일한 음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우리말 ‘날’은 ‘日’과 ‘翼’자를 빌어 지명에 표기되고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이곳에는 ‘晩珠洞’이라는 골짜기 이름이 있는데 이곳은 ‘일곡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마을’이라 한다. ‘晩’은 훈이 ‘늦’이다. 그런데 이 ‘늦’은 ‘날’계 지명이다. 또 ‘날’계 지명으로 ‘노린적굴’이 있다. 이 ‘노린적굴’의 ‘노리’는 ‘날’의 변형이다. 그리고 이곳에는 두 물줄기가 합수하는 곳의 이름으로 불리는 登村마을이 있기 때문이다. ‘登’은 훈이 ‘오르다’이다 그러나 뒤에 명사와 합성하여 쓰일 경우에는 ‘올’이라 한다. ‘올’도 물줄기가 합류되는 곳이고 ‘날’이나 ‘갈’계 지명도 물줄기가 갈라지는 곳의 지명인데 이들은 동전의 앞뒤와 같이 서로 상통하는 지명어사이다. 그것은 옛날에는 큰 길이 없을 때 지대가 낮은 물줄기를 따라서 길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올 경우에는 아무 문제없이 목적지에 갈 수 있지만 하류에서 상류로 올라갈 경우에는 물줄기가 갈라지는 곳을 만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다른 방향으로 가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현상적으로는 합류되는 곳일지라도 실제 일상 생활에서는 갈라지는 곳으로 인식하여 머리에 입력해야 하고 지명도 갈라지는 곳으로 명명하여 기억을 새롭게 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 일곡 · 일동(一谷 · 一洞)마을의 유래

일곡동이 地名으로 문헌에 처음 나타난 것은 1789년 호구총수(戶口總數)에서 이다. 당시 기록에는 石堤里 一谷村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 후 일제 때 石堤里 日谷리. 日洞리로 나타난다. 본래는 큰 마을이라 하여 '한실'이라 부르다가 마을이름을 漢字로 바꾸면서 '一曲'이라 했다가 一谷이 日谷으로 바뀐 듯 하다. 현재 일곡마을 노지섭씨가 소유하고 있는 고문서 중 <乾隆 57年, 盧彦一, 戶口單子>를 보면 北區 石堤一曲으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건륭 60년 (1759년) 戶口單子에는 一谷으로 나타나다가 그뒤 日谷으로 기재되어 있다.

마을에 처음 터를 잡은 성씨는 光山盧氏이다. 22세손인 欣東이 현 우치공원 맞은편에 있는 모산마을에 이주해와 터를 잡았다고 한다. 그의 아들인 希瑞(1558 ~ 1592)의 묘가 일곡마을 뒷산 초장골(招葬洞)에 모셔져 있어 이때부터 대대로 터전을 마련했던 것 같다. 이보다 약간 늦은 시기에 光山李氏 11세손인 楠(1603 ~ 1653)이 목포 달동네서 옮겨와 광산노씨와 함께 마을을 이루면서 살았다.


▶ 마을의 지명

- 가마보재[고개] : 일곡에서 내지로 넘어가는 고개.

- 건너물[마을] : 일곡마을 동쪽에 있는 마을 일부분.

- 구상(坸像)[골] : 아홉무덤 봉 동쪽에 있는 골짜기.

- 노린적굴[들] : 선상홍국 아래쪽에 있는 들.

- 늑두굴[골] : 소소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

- 동촌[마을] : 일곡마을

- 만주동[골] : 일곡 북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이 있었음. 만줄등 밑이 됨.

- 만줄등(晩茁嶝) : 한새봉 아래에 있는 등성이.

- 무등동 : 일동 서쪽에 있는 등성이.

- 범안골 : 구상골 아래쪽에 있는 골짜기.

- 선산홍굴[골] : 노린적굴 북쪽에 있는 골짜기. 선산안굴

- 쇄소 골[골] : 노린적굴 남쪽에 있는 골짜기.

- 수랑 골[들] : 서남쟁이 동쪽에 있는 들. 수랑이 많음.

- 아홉무덤 봉[산] : 한새봉 북쪽에 있는 산. 본촌동 김씨묘가 아홉기가 있음.

- 억산이 재[고개] : 일곡에서 용두동으로 가는 고개.

- 장군대록 골[골] : 노린적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큰바위에 발자국이 있는데 장군이 지남녀서 디딘 것이라 함.

- 잿봉[산] : 일동 서남쪽에 있는 산. - 저봉

- 초장등[등] : 소소리 남쪽에 있는 등성이.

- 큰갯 재[고개] : 일곡 북서쪽에서 용두리 거진으로 가는 고개.

- 한새봉[산] : 일곡 북쪽 제일 높은 산 - 한시몰랭이

- 한적곡[들] : 쇄소골 북쪽에 있는 들 - 노린적골

- 후한봉 : 마을 뒤쪽에 있는 산




- 무드리 향토사료 - 



top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