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운정동

● 동명의 유래 

운정동(雲亭洞)은 본래 광주군 하대곡면의 지역인데, 1914년 어운리, 복정리 일부와 창평군 선면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魚雲과 福亭의 이름을 따서 운정리라 하였다. 따라서 雲亭洞은 魚雲과 福亭에서 한 글자씩을 취하여 지어진 이름인데 ‘魚雲’은 ‘魚’자로 표기되고 있지만 지명에서는 ‘於’자를 쓰는 곳이 많음으로 보면 ‘於’가 ‘魚’로 바뀌어 표기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於雲’이 될 것인데 이는 ‘늘운’이라 읽었을 것이다. 따라서 ‘늘운’은 ‘느룬>느른’으로 불리는 지명이었을 것이니 ‘날’계 지명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福亭’은 어떻게 명명된 지명일까? 대개 ‘福’자가 들어간 지명은 냇물을 막아 논에 용수하는 보를 뜻하는 지명이 많다. 예를 들면 전남 보성의 경우에도 삼국사기에는 “寶城郡 本百濟 伏忽郡”이라 하였는데 ‘忽’은 ‘城’을 뜻하는 말이니 ‘城’으로 바뀌었고 ‘伏’은 ‘寶’로 바뀌었는데 이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洑’를 표기하는 지명어가 아닐까 한다. 즉 ‘伏’이 ‘寶’로 바뀐 것이다. 또 경북 영덕군 지품면의 ‘洑谷理’는 일명 ‘보골, 보곡, 복곡’이라 하는데 이는 ‘洑(보 보(나루 복))’를 소재로 하여 명명된 지명이다. 또한 전남 광양군 진월면 선소리의 ‘伏谷貯水池’도 ‘洑’를 ‘伏(엎드릴 복)’자로 잘못 표기하고 있지만 이는 ‘보(洑)’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위의 ‘福亭’은 고유어 지명으로 ‘복다우’라 하는데 ‘다우’가 무슨 뜻인지는 확실히는 알 수 없지만 이는 보를 막음에 따라 생기는 다리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것은 福亭 마을 인근에 보를 막은 곳이 있어 甫村과 外甫村이라는 마을명이 산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곳 福亭 마을을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지도에는 ‘복바우’라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마을에 사는 양광식(70세)에 의하면 ‘복바우’라는 이름은 들어보지도 못했고 예로부터 죽 ‘복다우’라 불러왔다고 증언한다.

‘복바우’가 있다면 ‘福岩’으로 불러야 한다. 福亭이라 부르는 것은 ‘복바우’가 있다는 전제하에서 석연치 않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마을에는 특별히 ‘복바우’라 지칭하는 바위는 없다. 보통 ‘복바위’가 있다면 ‘福’자 보다는 땅에 박힌 돌이니 ‘엎어진 돌’이라 하여 ‘伏岩’이라는 이름을 쓰는 마을이 많다. 이 마을에 사는 양광식(70세)씨에 의하면 이곳 福亭 마을과 용호 마을 사이의 냇물에는 보(洑)가 있다 한다. 이 보는 예로부터 복정 마을에서 관리해 왔다한다. 그리고 이 보는 일제 때 막았는데 보를 막기 이전에는 시멘트가 아닌 흙이나 돌로 막아서 논에 用水했기에 마을의 이름을 福亭이라 부르지 않았는가 생각한다.



* 주룡(舟龍)마을


▶ 마을의 유래

이 마을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주룡(舟龍)마을의 뒷산에는 아주 오래전부터 명당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명당은 황룡이 배를 등에 지고 있는 형국인 黃龍負舟形舟龍마을이라고 했을 것으로 추측해본다. 이 마을에 처음 터를 잡은 사람은 200년 전에 함양 박씨가 들어왔으며 이후에는 천안 전씨가 들어왔다고 한다.


▶ 마을의 연혁

- 조선후기 장등동, 맹동, 어운동 마을이 광주군 하대곡면에 속함.

-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대곡면 어운, 복정리 각 일부는 운정리가 되어 광주군 석곡면에 속함.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석곡면 장등, 운정리가 됨.

- 1957년 7월 1일 광주시 망월출장소 관할 장등, 운정동이 됨.

- 1957년 12월 2일 석곡 출장소 장운동이 됨.

- 1973년 7월 1일 구제실시에 따라 석곡출장소 장운동은 동구관할이 됨.

- 1980년 4월 1일 동구관할의 석곡출장소 장운동은 신설된 북구 관할이 됨.

-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북구 장운동이 됨.

- 1998년 9월 21일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은 신설된 석곡동이 됨.


▶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

텃베미, 큰뫼, 옥수봉, 동갈막봉, 배진바우 등이 있다.


* 어운(魚雲)마을


마을의 유래

어운마을은 예전에는 맹골이라 했다한다. 그 이유는 예전에 이곳이 바다였을 때 배를 맨 골이라고 하여 배맹골이라 했다. 그래서 그후 맹골로 불려졌다한다. 하지만 어운이라 불리게 된 연유는 잘 알 수가 없다. 이 곳에 처음 터를 잡은 성씨는 의성 김씨로 문계 상복이라는 분이 경상도 의성에서 조선 정조 때 이곳으로 건너왔다 한다.


▶ 마을의 연혁

- 조선후기 장등동, 맹동, 어운동 마을이 광주군 하대곡면에 속함.

-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대곡면 어운, 복정리 각 일부는 운정리가 되어 광주군 석곡면에 속함.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석곡면 장등, 운정리가 됨.

- 1957년 7월 1일 광주시 망월출장소 관할 장등, 운정동이 됨.

- 1957년 12월 2일 석곡 출장소 장운동이 됨.

- 1973년 7월 1일 구제실시에 따라 석곡출장소 장운동은 동구관할이 됨.

- 1980년 4월 1일 동구관할의 석곡출장소 장운동은 신설된 북구 관할이 됨.

-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북구 장운동이 됨.

- 1998년 9월 21일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은 신설된 석곡동이 됨.


▶ 마을에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

- 웃골 : 어운마을 앞에 있는 지명

- 민거리 : 앞산 등성이 소가 누워있는 형국인데 이곳에 소를 메어서 민거리라 했다.

- 쇠똥구리 : 소가 똥을 싼 형국이라 쇠똥구리라 했다. 기타 개금골, 진베미, 학우베미 등이 있다.
 

 * 용호(龍虎)


▶ 마을의 유래

용호마을은 예전에는 염봉쟁이라 하여 마을로 들어가는 도로변에 1910년까지 장터가 형성 되었다고 한다. 용호마을이라 불려지게 된 연유는 풍수지리상 마을 좌측에 있는 산이 용모양을 하고 있고 우측에 있는 산이 호랑이 모양을 하고 있어서 용호라 불려지게 되었다한다. 마을에 처음 터를 잡은 성씨는 전주 이씨와 김해 김씨 그리고 광산 김씨가 약 150년 전에 들어왔다 한다.


▶ 마을의 연혁

- 조선후기 : 장등동, 맹동, 어운동 마을이 광주군 하대곡면에 속함.

-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대곡면 어운, 복정리 각 일부는 운정리가 되어 광주군 석곡면에 속함.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석곡면 장등, 운정리가 됨

- 1957년 7월 1일 광주시 망월출장소 관할 장등, 운정동이 됨.

- 1973년 7월 1일 구제실시에 따라 석곡출장소 장운동은 동구관할이 됨


▶ 마을에 옛부터 전해내려오는 지명

- 도동논 : 용호마을에 들어오는 고개를 도동고개라 하는데 논이 이 고개 아래에 있다고 하여 도동논이라 불렀다.

- 복다우 : 용호마을 왼쪽에 있는 곳을 복다우라 불렀다.

- 핑룡굴산 : 용호마을 앞쪽에 있는 산을 말한다. 기타 엄통안에, 뒷골짝 밭 등의 지명들이 전해내려오고 있다.


* 복다우마을


▶ 마을의 유래 

복다우마을은 원래 복정이라고 불렸으나 자세한 연유는 알 수 없다.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성씨는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오래 전에 마을 사람들이 살았었다 한다. 그 후로 70년 전에 표씨가 들어와 터를 잡았다한다.


▶ 마을의 연혁

- 조선후기 : 장등동, 맹동, 어운동 마을이 광주군 하대곡면에 속함.

-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대곡면 어운, 복정리 각 일부는 운정리가 되어 광주군 석곡면에 속함.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석곡면 장등, 운정리가 됨.

- 1957년 7월 1일 광주시 망월출장소 관할 장등, 운정동이 됨.

- 1957년 12월 2일 석곡 출장소 장운동이 됨.

- 1973년 7월 1일 구제실시에 따라 석곡출장소 장운동은 동구관할이 됨.

- 1980년 4월 1일 동구관할의 석곡출장소 장운동은 신설된 북구 관할이 됨.

-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북구 장운동이 됨.

- 1998년 9월 21일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은 신설된 석곡동이 됨.


▶ 마을에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

- 안뫼골, 집마골 등의 지명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 무드리 향토사료 - 


top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