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오치동

● 동명의 유래 

오치동(梧峙洞)은 본래 광주군 오치면의 지역으로서 머구재 밑이 되므로 또는 오치라 하였는데, 1914년 상촌리, 하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오치리라 불렀다. 이렇게 梧峙洞은 ‘머구재’로부터 생긴 지명이다. ‘머구’는 무슨 뜻일까?『한국지명총람』에 의하면 梧峙洞은 머구나무(머귀나무)가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즉 ‘머귀나무’는 오동나무니 ‘머구’나 ‘머귀’의 뜻을 가진 한자인 ‘梧’(벽오동나무 오)자를 취하고 ‘재’나 ‘고개’를 뜻하는 ‘峙’자를 택하여 명명한 지명이란 뜻이다.
그러나 호구총수 자료에는 ‘蛙只里’라 표기되고 있다. ‘蛙’자는 ‘개구리 와’자이다. ‘개구리’의 옛말은 ‘머구’이다. 때문에 ‘蛙只里’의 ‘只’는 차자표기법의 관습상 ‘머기’의 제2음절인 ‘기’음을 다시 한번 표기하여 ‘只’가 ‘머기’의 ‘기’임을 설명적으로 보여주는 표기인 것이다. 그러나 풍수지리를 믿는 주민들은 호구총수 자료의 ‘蛙只里’에 대하여 이곳의 지리적 특징이 ‘개구리 형국’이기 때문에 명명된 지명이라 말하기 쉽다.

그러나 이 지명이 ‘개구리’와는 별 상관이 없는 지명이 아니라 생각한다. 혹 이곳에 지금은 오동나무라 부르지만 예전에는 오동나무를 ‘머구나무’라 불렀으므로 ‘머구나무’가 많은 고개라서 ‘梧峙’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오동나무가 많은 고개’라는 이야기는 성립될 수 있어도 ‘개구리가 많은 고개’라는 이야기는 설득력이 더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 상촌, 하촌, 박야, 황계, 새터마을의 유래

오치동은 원래 '머구재'라 하였는데 漢字로 고치면서 오치(梧峙)라 하였다. 이 고개에 머구나무(머귀나무)가 있어서 머구재라 한데서 연유된 이름이다. 오치는 상촌, 하촌으로 나뉘어 불려졌는데 상촌은 하동 정씨가 하촌은 함평 이씨가 처음 터를 잡았고, 오치 1동에서 31사단에 접한 신기마을도 하동 정씨가 처음 터를 잡았다. 박야마을은 박들이라는 고개(현, 삼일교회) 일대에 있던 마을이었는데 나병이 돌아 사라지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마을의 연혁

- 1935. 10. 1 광산군 서방면 오치리가 됨.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돼 광주군은 광산군이 됨.

- 1955. 7. 1 광주시 풍향출장소 오치동이 됨. 광주시역 확장에 따라 광산군 서방면이 광주시로 편입되면서 주민들의 편입을 위해 풍향 출장소를 설치함.

- 1957. 12. 2 122개 동을 51개 운영동으로 축소함에 따라 오치동은 서산동 관할 법정동이 됨.

- 1961. 3. 10 북부 출장소 관할이 됨.

- 1973. 7. 1 구제 실시에 따라 서산동은 동구 관할이 됨.

- 1980. 4. 1 동구 관할의 서산동은 북구 관할이 됨.

- 1994. 7. 1 서산동에서 오치동으로 분동.

- 1997. 3. 1 오치동을 1동과 2동으로 분동.



▶ 마을의 지명

- 가루고개 [고개] : 매머리 동쪽에서 문화동으로 가는 고개

- 가매봉 [산] : 매머리 동쪽에 있는 산

- 강정메 [산] : 오치 동쪽에 있는 산

- 거문곳등 [등] : 참삿골과 물망골 사이에 있는 등성이. 옥녀탄금형의 명당이 있는 곳

- 굉이남갓 [들] : 떡깍새 동쪽에 있는 들

- 노모실들 [들] : 참삿골 동북쪽에 있는 들.

"노모실"이란 마을이 있었음

- 능안골 [골] : 역골 위쪽에 있는 골짜기. 광산노씨 구능단이 있음

- 당산메 [산] : 오치 동북쪽에 있는 산

- 더우시암 [우물] : 오치 남쪽에 있는 샘

- 더우시암들 [들] : 더우시암 근처에 있는 들

- 딱깍새 [들] : 새방죽 동쪽에 있는 들

- 도정고개 [고개] : 도정 정덕필이 과거에 급제하여 방을 걸었던 곳 = 방고개

- 두매미들 [들] : 서당산 서쪽에 있는 들

- 마녕굴 [들] : 오치 서남쪽에 있는 들

- 매머리 [마을] : 오치 남쪽 산등성이에 있는 마을. 현재 용봉동과 경계로 대신파크 자리

- 매머리들 [들] : 오치 서남쪽에 있는 들

- 머구재 [마을] : 오치동

- 머구재[고개] : 오치남쪽에 있는 고개. 머구나무(머귀나무)가 있었음

- 물망골 [골] : 능안 동쪽에 있는 골짜기. 물맞이를 했다함

- 박들 [마을] : 차독고개 북쪽에 있는 마을. 1. 땅이 메마름. 2. 박씨가 많이 살았다

- 박야 [마을, 들] : 박들

- 방고개 [고개]: 오치 동쪽에서 문화동으로 가는 고개. = 도정고개 도정 정득필이 과거에 급제하여 방을 걸었던 곳

- 북생잇등 [등] : 오치 동북쪽에 있는 등성이

- 북장굴 [들] : 방고개 아래편에 있는 들

- 뻐드정이 시암 [샘] : 오치와 방고개 사이에 있는 샘 곁에 노거수인 버드나무가 있었음

- 비선골 [들] : 홈건네 동쪽에 있는 들. 비(碑)가 섰었음

- 삼부래기 [산] : 방(반)고개 동쪽에 있는 산

- 상촌 [마을] : 오치 웃마을. = 상오치

- 새방죽 [들] : 더우시암 남쪽에 있는 들. 근처에 새로 만든 방죽이 있었음

- 새터 [마을] : 오치 북쪽에 새로 된 마을. = 신지, 신촌

- 서당산 [산] : 복장골 남쪽에 있는 산. 높이 64m. 서당에서 관리함. 서당매(매머리 동북쪽). 현재 청소년 수련장과 경계

- 소구래 [들] : 박들 서쪽에 있는 깊은 들

- 신기(新基) [마을] : 새터, 신촌

- 신삼는 바우 [바위] : 오치 뒤에 있는 너를 바위.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이 광주에서 이곳에 이르러 보니 신이 다 닳았으므로, 이 바위에 앉아 신을 다시 삼아 신고 담양(潭陽), 대치(大峙)로 갔다함

- 아랫마을 [마을] : 오치 서쪽 아래에 있는 마을. 하오치, 下村

- 안산 [산] : 매머리들 앞에 있는 산

- 여시 바우 [바위] : 여시박굴에 있는 바위. 문흥동과 경계

- 여시박굴 [골] : 서당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 여시바우가 있음

- 역굴 [골] : 절터골 아래 있는 골짜기. 큰 안골에 고을이 있을 때 이곳에 역(驛)이 있었다 함

- 오치방죽 [못] : 오치 앞에 있는 방죽. 지금 하전이 들어섬. = 종소제(宗沼提)

- 웃마울 [마을] : 오치 동쪽에 있는 마을. 상오치, 상촌(上村)

- 종소제(宗沼提) [못] : 오치 방죽

- 정터골 [골] : 역굴위에 있는 골짜기인데 송감사 단묘가 있음

- 진구래(들) : 박들과 소구

- 진삿등 [등] : 오치 뒤쪽에 있는 등성이. 진사(進士) 이씨(李氏)선조의 묘가 있음

- 차독고개 [고개] : 오치 북쪽에 박들로 가는 고개. 차독(차돌)이 많음

- 참삿골 [골] : 오치 북쪽에 있는 골짜기. 찬샘이 있음.

- 큰안골 [골] : 물망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오치와 삼각동 사이에 있는 큰 골짜기인데 옛날 광주 고을이 있었다함. 옛 기와 조각들이 발견 되었음. 현재 31사단 군부대가 들어섬

- 하촌 [마을] : 아랫마을 = 하오치

- 홈 건네 [들] : 굉이남갓 동쪽에 있는 들. 홈(홈통)놓은 곳의 건너쪽이 됨

- 황계머리(黃鷄-) [마을] : 오치 서쪽에 있는 마을




- 무드리 향토사료 - 


top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