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동림동

● 동명의 유래 

동림동(東林洞)은 본래 광주군 황계면의 지역인데, 1914년 동배리, 죽림리, 黃溪里 용산리의 각 일부와 군분면의 쌍촌리 일부, 덕산면의 동작리 일부, 석제면의 외촌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동배와 죽림의 이름을 따서 된 이름이다.『호구총수』자료에 ‘黃溪里, 東背谷, 竹林村, 大內洞, 射亭, 新村, 大自里, 蛇山村, 栗谷里’라는 마을이 있다. 이 중 1914년 ‘黃界里’의 이름을 따서 이곳은 ‘黃界面’이 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東林洞’은 ‘東背’와 ‘竹林’이란 마을이 합하여 된 이름이므로 이 洞名이 형성된 유래를 알기 위해서는 ‘東背’와 ‘竹林’ 마을의 유래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東背谷’ 그 유래가 무엇일까?『호구총수』를 보면 “竹林村, 大內洞, 射亭, 新村, 大自里, 蛇山村” 등의 지명들이 있다. 이 중 ‘大自里’라는 지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옛말에 城을 ‘잣’이라 하였다. 城은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그 자리에 둥글게 흙이나 나무나 돌로 담을 치듯이 둘러서 막고 타인의 침범이나 危害로부터 자기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한 설치물이다. 이 城을 ‘잣’이라 하는데 이를 ‘자리’와 상통한다. ‘자리’는 “어떤 물체가 있거나 그것을 둘 수 있는 곳”이다. 즉 어떤 장소를 개인이나 집단이 점령이거나 확보하고 자기의 영역을 뜻한다. 그러므로 ‘자리’는 ‘잣’과 상통하며 ‘잣’은 ‘자ㆍ잔ㆍ장’ 등으로 발음되며 지명에 나타나는데 ‘자’는 ‘自ㆍ尺’로, ‘잔’은 ‘杯ㆍ盃’으로, ‘장’은 ‘壯’으로 차차 표기된다.

따라서 위의 ‘東背谷’의 ‘背’는 이곳에 城이 있었기에 城을 뜻하는 ‘잣’이 ‘자’로 나타나 ‘自’자로 표기되지 않았을까 생각하며 ‘자’가 ‘잔’으로 발음됨에 따라 ‘잔’을 훈으로 한 ‘杯ㆍ盃’로 차차 표기되었다가 ‘杯ㆍ盃’와 훈이 같은 ‘背’로 바꾸어 표기하지 않았을까 한다.

아울러 위『호구총수』의 ‘射亭’은 이곳에서 활을 쏘았던 정자가 있었음을 증명하는 이름이다. 그것은 ‘射亭’은 城과 가까운 곳에서 군사들에게 활쏘기를 연습시킬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이다. 또한『호구총수』에는 ‘竹林’이라는 지명이 있다. ‘竹林’은 옛날 ‘대나무’가 여러모로 다양한 용도로 쓰였는데 특히 전쟁을 위한 활을 만들거나 또는 높은 사다리를 만들기 위해서도 필요했을 것이며 ‘시누대’는 ‘화살’을 만드는 재료로 꼭 필요했기 때문이다. 한편 ‘東背谷’은 ‘동백실’의 변형인 ‘돔배실’로 발음되는 지명 예가 있다. 주로 제주도에서의 예인데 그곳은 기온이 따뜻하므로 동백나무가 잘 자라기 때문일 것이다. 동백은 ‘栢’으로 표기되므로 ‘동자’ 또는 ‘동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동백 [동박정]【마을】<전남-나주군-다시면-동당리>. 동백나무 정자가 있었음.

‘동백’은 ‘冬柏ㆍ冬栢’이라 표기한다. ‘栢’은 훈이 ‘잣’이므로 ‘잣나무’와도 상통한다. 또한 지명에서 ‘柏’은 곧잘 ‘白’자 지명과 상통한다. 아래 경남 함양의 ‘東柏’도 ‘白’자와 터 쓰이고, 함양의 栢田面의 東柏, 西栢, 上白峴, 下白峴이란 지명도 ‘東柏’을 ‘동자밭’이라 부르는 것으로 보아 ‘동쪽 잣밭’이란 뜻의 지명일 것인데, ‘東柏’과 ‘西柏’은 ‘잣나무’와 관련된 지명이라 하고 上白峴, 下白峴의 ‘白峴’은 ‘白’자로 표기되며 ‘희재’라 불리고 있으니, 이들은 본래 같은 어원에서 파생한 지명일 것인데도 ‘柏’과 ‘白’으로 갈려 혼동을 일으키고 있다.

동백(東柏)【마을】<경남-함양군-백전면-양백리> → 동자밭.
西柏洞【마을】<경남-함양군-백전면-양백리> → 서자밭.
동백동(東柏洞)【마을】<경남 함양군-백전면-양백리> → 동자밭.
희재[白峴]【마을】<경남-함양군-백전면-경백리>

경북 고령에는 ‘자밭골’이 있다. 이를 ‘백전동’ 또는 ‘단산동’이라 부른다. 이곳에서도 ‘잣ㆍ자’와 ‘栢’, ‘丹’은 서로 읽혀 있다.

자밭골[栢田洞, 丹山洞]【마을】<경북-고령군-운수면-법동> 단산 밑이 됨.

‘丹’은 ‘붉다ㆍ밝다’이고 이는 ‘東ㆍ白’과 상통하는 어사이다. 그러므로 ‘丹’은 ‘赤’과 상통하니 ‘붉다’와 ‘붉다’는 상통하며 ‘明’과 상통한다. 따라서 ‘白’은 ‘丹ㆍ赤’과 상통하며 ‘날이 새다’의 ‘새다’와 통하므로 ‘날이 새다’의 ‘새다’와 상통하므로 東과 통하는 것이다.


▶ 마을의 연혁

- 조선후기 광주군 황계면에 속함

- 1914년 동배리, 죽림리, 용산리의 각 일부와 군분면의 쌍촌리 일부, 덕산면의 동작리 일부 그리고 석제면의 외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림리라 해서 극락면에 편입

- 1955년 7월 1일 광주시 유촌출장소 설치

- 1957년 12월 2일 광주시 동운동

- 1961년 3월 1일 광주시 서부촐장소

- 1973년 7월 1일 광주시 서구 동운동

- 1980년 4월 1일 광주시 북구 동림동

- 1982년 9월 1일 동원1, 2동 분동

- 1986년 11월 1일 광주광역시 북구 동운1동

- 1993년 12월 1일 동운 1, 3동 분동

- 1995년 1월 1일 광주광역시 북구 동운3동

- 1997년 3월 1일 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 신설


▶ 마을에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

- 죽림(竹林) : 대나무 숲이 울창하여 예로부터 불리어진 마을이름

- 동배(東背)마을 : 동쪽으로 등을 지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지어진 마을이름. 일제시대에는 동족으로 궁성제배를 드리라는 뜻으로 (背 - 拜) 왜곡되어 불려지기도 했다

- 불공(佛供)마을 : 조선시대에 불공사란 절이 있다하여 지어진 마을이름

- 배매산 : 수백년전에 죽림마을 앞에는 큰강이 흘렀다고 하는데, 그 강을 왕래하는 배들이 이 마을 어귀에 들어왔을 때, 그 배들을 이 마을 어귀에 들어왔을 때, 그 배들을 메어놓은 바위들이 많았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 무드리 향토사료 - 


top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