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금곡동

● 동명의 유래 

금곡동(金谷洞)은 본래 광주군 석저면의 지역으로서 쇠가 났다하여 서름 또는 금곡, 서림, 서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촌리, 신촌리, 이치리와 상대곡면의 화암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금곡리라 불렀다.
이곳은 ‘서림’이라 한다. 이곳 이름 ‘서림’은 ‘西’자를 빌리거나 또는 ‘書’자를 빌어 표기하고 있는데 ‘西林’으로 인해 ‘西村’이라 불리고, ‘書林’은 이곳에 서당이 있었기 때문에 불린 이름일 것이다. 그러나 ‘서당’이 있었던 곳은 대개 ‘서당골’이라 불리는 곳이 많고 ‘西洞’으로 불리는 곳은 극히 제한적인 실정이다. 또한 ‘西林’이라 하여 ‘林’자를 붙여서 불리는 지명은 ‘서’라는 소리의 ‘ㄹ’종성표기를 위하여 차용된 글자로 생각된다. 또한 이곳에는 ‘영발암터’와 ‘영발절터’가 있다. ‘영발’의 ‘永’은 훈이 ‘얼음’이니 ‘얼’이라는 소리를 빌려 표기한 지명어이다. 우리 지명에 물줄기가 합수되는 곳의 이름에 合을 뜻하는 고대국어 ‘얼’이 쓰이는데 ‘永’은 이 ‘얼’을 표기하는 지명어이다.

금곡동의 금곡은 ‘쇠골’에서 나온 지명일 것인데 이곳에서 ‘쇠’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불린 이름이라 전한다. 조선 왜란때 충장공 김덕령 장군이 이곳 출신이었기에 이곳에서 철을 많이 제련했거나 무기를 많이 제조하여 불린 이름이라 전한다.

그러나 이 금곡은 ‘설’과 말의 뿌리가 같기 때문에 ‘서름’ 또는 ‘서림’이라는 이름과는 서로 무관하지 않다 생각한다. ‘설’은 지나간 해와 돌아오는 해의 갈림길에 서있는 날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들이 땅에 금을 긋는 것은 이곳과 저곳을 구획하는 경계를 짓기 위하여 긋는 행위이다. 때문에 이 두 어사는 동일한 어원을 갖는 어사인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두 지명은 이곳의 지리적 환경이 이곳에서 물줄기가 갈라지는 곳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생각한다.



* 금곡(金谷)마을


▶ 마을의 유래

금곡마을은 예전에 서림마을 이였다 한다. 서림이라 불리게 된 정확한 여유는 알 수 없지만 풍수지리상 앞산인 큰선배, 작은선배가 범이 누워있는 상태로 피난터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6.25 때도 이 마을은 피해가 별로 없었다 한다. 그 후 행정구역 개정 떄 전 석곡면장이 쇠가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금곡이라 했다 한다. 이 마을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다는 지석묘(고인돌) 등이 출토되고 있다. 그 후 전씨가 이 곳에 터를 잡았다 하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고 남평 문씨가 500년 전에 임진왜란을 피해 이곳에 와서 터를 잡았다고 한다.


▶ 마을의 연혁

- 조선후기 '호구총수(1789)' 기록에 지금의 이 지역으로 보이는 서림촌이 나타난다.

-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폐합때 석저면 서림리가 석곡면 금곡리에 속했다.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개칭되면서 광산군 석곡면 관할이 되었다.

- 1955년 7월 1일 담양군 남면 금곡리가 되었다.

- 1957년 12월 2일 122개 동을 51개 동으로 축소 운영할 때 담양 나면에서 다시 광주시 석곡 출장소 충효동이 되었다.

- 1973년 7월 1일 구제 실시에 따라 석곡출장소 충효동은 동구 관할이 되었다.

- 1980년 4월 1일 동구 관할의 석곡출장소 충효동은 신설된 북구 관할이 되었다.

-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북구 충효동이 되었다.

- 1998년 9월 21일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이 석곡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 마을에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

- 탑배미 : 논의 모양새가 탑처럼 솟아 나왔다하여 탑배미라 불려졌다 한다.

- 말배미 : 논의 모양새가 말처럼 생겼다 하여 말배미라 불려졌다 한다.

- 섬배미 : 논의 모양새가 섬처럼 생겼다 하여 섬배미라 불려졌다 한다.

- 벼락바위 : 바위가 벼락을 맞았다 하여 벼락바위라 불려졌다 한다.

- 절터골 : 예전에 절이 있었다하여 절터골이라 불려졌다 한다. 기타 아니배미, 한적골, 지심터골, 배롱골 등의 지명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 배재(梨峙)마을


▶ 마을의 유래

배재(이치)마을은 마을로 넘어오는재 이름이 배재고개라 하여 배재마을로 불려졌다 한다. 또한 배재를 한자로 풀기하면서 이치로 불렸다고 한다.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성씨는 광산 김씨로 약 500년 전에 이곳으로 들어왔다 한다.


▶ 마을의 연혁

- 조선후기 '호구총수(1789)' 기록에 지금의 이 지역으로 보이는 서림촌이 나타난다.

-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폐합때 석저면 서림리가 석곡면 금곡리에 속했다.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개칭되면서 광산군 석곡면 관할이 되었다.

- 1955년 7월 1일 담양군 남면 금곡리가 되었다.

- 1957년 12월 2일 122개 동을 51개 동으로 축소 운영할 때 담양 남면에서 다시 광주시 석곡 출장소 충효동이 되었다.

- 1973년 7월 1일 구제 실시에 따라 석곡 출장소 충효동은 동구 관할이 되었다.

- 1980년 4월 1일 동구 관할의 석곡 출장소 충효동은 신설된 북구 관할이 되었다.

-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북구 충효동이 되었다.

- 1998년 9월 21일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이 석곡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 마을에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

- 대추나무골 : 논에 대추나무가 있어서 대추나무골 이라 불렀다 한다.

- 장구배미 : 논 모양이 마치 장구처럼 생겼다하여 장구배미라 불렀다 한다.

- 구시 시암골 : 논에 소의 구시 같은 샘이 있어서 구시 시암골이라 불렀다 한다.

- 백두재 : 배재마을 오른쪽에 있는 고개를 백두재라 부른다.

- 지암재 : 배재마을 앞쪽에 있는 고개를 지암재라 부른다.

- 등촌재 : 배재마을에서 등촌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를 등촌재라 부른다.

- 접재 : 배재마을 왼쪽에 있는 고개를 접재라 부른다.

- 덕봉 : 배재마을 뒤쪽에 있는 산봉우리를 덕봉이라 부른다.

- 주막거리 : 배재마을 아래에 있는 곳으로 현재 새로 포장된 도로가 있는 곳이 옛날 주막이 있던 거리였다 하여 주막거리라 불렀다 한다.




- 무드리 향토사료 - 


top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