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도 및 역대원장
기부금공시현황
찾아오시는 길
문화와 역사
북구역사
역사
인물
민속
전설/설화
지명
가사문화권 소개
북구문화관광
북구국가유산 검색
문화강좌
문화강좌 소개
수강신청
주요사업
교육사업
행사사업
향토사 조사
간행물 발간
공모사업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한복문화교육
한복 소개
한복입는 법
교육동영상, 활동사진
한복체험관
한복체험관 소개
신청서
소곤소곤 한복이야기
소장자료
발간도서 소개
소장자료검색
문화가족
문화원 회원가입안내
향토자료수집
문화사랑방
문화원소식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전체메뉴
전체메뉴
전체메뉴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도 및 역대원장
기부금공시현황
찾아오시는 길
문화와 역사
북구역사
역사
인물
민속
전설/설화
지명
가사문화권 소개
북구문화관광
북구국가유산 검색
문화강좌
문화강좌 소개
수강신청
주요사업
교육사업
행사사업
향토사 조사
간행물 발간
공모사업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한복문화교육
한복 소개
한복입는 법
교육동영상, 활동사진
한복체험관
한복체험관 소개
신청서
소곤소곤 한복이야기
소장자료
발간도서 소개
소장자료검색
문화가족
문화원 회원가입안내
향토자료수집
문화사랑방
문화원소식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문화원소식
Home
문화원소식
공지사항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공지사항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월간 <우리문화> 2024년 3월호 e-book 보기
북구문화원
날짜
2024-04-22
조회수
162
표주박으로 물 떠먹는 약수터 풍경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우리문화> 3월호의 흥미로운 이야기들, 지금 만나보세요!
밥, 술, 국
함께
‘노나 먹는’ 맛
한데 조리한 음식을 나누어 먹는 음식 문화는 우리 고유의 공동체 문화를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그때 사용하는 도구가 국자나 주걱, 숟가락 등이다.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표주박은 술이나 물을 떠먹거나 떠줄 때 사용했다.
기사 더 보기
200년 전
다산초당의 풍경
다산은 일찍부터 나무를 좋아했고, 수목에 관심이 많았다. 《다산시문집》에는 느릅나무·황칠나무·매화·대나무 등이 시 제목으로 나오고, 주엽나무·멀구슬나무·등나무·가래나무 등이 시어로 등장한다. 이 정도라면 애호가가 아니라 ‘수목 전문가’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기사 더 보기
어쩌면, 신성神聖
나만의
오산 여행법
낯설고 색다른 관광지는 아니지만, 조금은 뜻밖의 즐거움과 비슷비슷해 보이는 것 속에서 나만의 재미를 발견하는 것. 내가 알던 이곳을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여행. 그만한 좋은
시간이 있을까?
기사 더 보기
실용성에
장식을 더한
연결의 미학, 매듭
생활 여러 분야에서 알게 모르게 자주 쓰이는
것이 바로 매듭인데.
잘 묶은 매듭은 실용적이면서도 아름다움을 배가하는 빛나는 조연
역할을 한다.
기사 더 보기
월간 <우리문화> E-book
바로 보기
이전글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광주 북구 사랑 서포터즈' 모집
다음글
"제30회 무드리 그리기, 글쓰기 공모전" 참가자 모집
목록
공지사항 게시글 상세 폼
top 버튼